멘텀지표/주식 ADX 의 매매시점
상대적인 추세의 강도를 파악할 수있는 ADX
ADX (Average Directional indeX, 평균방향성지표)
+DI, -DI가 각각 상승추세, 하락추세의 강도를 나타내준다면 ADX는 주가의 상승,하락이 아닌 단지 현재추세의 강도를 파악하게 하는 지표이다.
그렇다면 왜 이 지표를 DI와 같이써야 타율이 맞는것인가!
차트아래 노란음영은 DMI
그 아래는 ADX(검은색선 / 빨간,파란선은 DMI지표이다=DMI가 ADX와 함께해야 의미가 있기때문에 ADX지표에 +,-DI가 자동으로 함께 나오게 설정 되어있는듯.)
DMI상에서 +DI, -DI의 두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은 엄밀히 말하면 각각 상승추세의 꼭지나 하락추세의 바닥이 아니다. 위의 예에서 갈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골든,데드크로스때의 차트는 이미 상승이나 하락추세가 정점을 찍고 돌아오는 길이기에 시차가 늦은감이 있다. 때문에 DMI만을 추종하여 매매를 하게되면 타이밍을 적절하게 잡기 힘들다.
이 결정적인 시기를 가름짓는, 곧 현재추세의 강도가 최고점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ADX인것!
위의 예에서 보면 ADX(검은선)가 최고점일때의 차트를 보면 대체로 현재의 추세가 소강국면으로 접어들것을 시사한다.
예컨대 첫번째 보라색 화살표(첫번째 ADX정점)의 시점에서 DMI지표는 -DI가 +DI를 압도하고있지만 현재 강세인 하락추세의 힘이 약해짐을 볼수있다.
다시말해 ADX는 현재의 추세가 앞으로 더 이어질것인지 추세가 반전될 것인지 시장이 과열상태는 아닌지 등에 대한 힌트를 주는 지표인 것이다.
그럼 이쯤에서 ADX,DMI를 이용한 차트보는붭!
1. ADX 최고점일때 +DI우세 = 상승추세 강력함
2. ADX 최고점일때 -DI우세 = 하락추세 강력함
3. 1번의 상태에서 ADX가 꺾어져 내려온다 = 상승추세의 소강국면(강도저하, 추세반전시사)
4. 2번의 상태에서 ADX가 꺾어져 내려온다 = 하락추세의 소강국면(강도저하, 추세반전시사)
5. 횡보하고있던 ADX가 상승하고 +DI가 상승 = 상승국면
6. 횡보하고있던 ADX가 상승하고 -DI가 상승 = 하락국면
이렇게 DMI와 ADX의 수렴과 괴리를 이용하여 차트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주식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봉차트가 중요한 이유! (0) | 2020.12.07 |
---|---|
스토캐스틱 매매 (0) | 2020.12.07 |
Envelope 엔벨로프 매매기법 (0) | 2020.12.07 |
20일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매매방법 (0) | 2020.12.06 |
240일 이동평균선 매매 (0) | 2020.12.06 |
댓글